겨울철에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경우 당황하여 고장이라고 생각해서 서비스 센터로 가는 경우 많죠?
요즘 차량에는 각종 센서들이 있어 이중하나인 (TPMS 경고등이) 작동되면 타이어의 공기압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아래와같이 경고등이 점등 됩니다.
요새 같이 갑자기 추워지는 겨울철에 기온이 내려가면서 공기가 수축되어 타이어 공기압이 떨어지게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문제되는 경우 “타이어 공기압이 낮습니다” 메시지와 함께 아래와같이 차량 경고등이 뜨는데요 어떻게 대처 할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겨울철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무료로 넣는방법 총정리
(셀프 타이어 공기압)
1. 보험사를 통해 타이어 공기압 주입
자동차보험을 들게 되면 무료로 4~10회 출장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데요
배터리 방전, 연료가 없는 경우, 타이어 공기압 등 서비스를 받을수 있습니다.
보험사를 통해 무료로 서비스 받을수 있으니 가장 간단한 보험사를 통해 타이어 고기압을 넣어주세요
2. 가까운 카센터 방문
가까운 카센터를 통해 타이어 공기압을 넣을수 있는데요
왠만하면 차량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 보험사 통해서 가능하지만
무료 서비스 횟수가 넘은 경우 가까운 카센터를 통해 공기압을 충전 할수 있습니다.
단 카센터에서 통한 경우 5천원~만원 정도 비용이 들수 있습니다.
2. 셀프로 공기압 주입
출시한지 6년 미만 차종인 경우 공기압 주입기 키트 , 펑크 대응 키트가, 트렁크을 열어보면 밑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기압은 설명서 보고 쉽게 개인이 충전 할수 있습니다.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셀프로 충전하는 방법
1.타이어 공기압 확인
타이어 공기압이 낮은경우 아래와 같이 경고등이 뜹니다.
이런경우 셀프로 공기압을 넣을수 있습니다.
2. 차량 트렁크에서 셀프 공기압 주입기 확인
차량 트렁크에서 셀프 공기압 주입기를 찾았습니다.
3. 시동을 키고 차량 시거잭 연결
차량의 시동은 킨 상태에서 공기압 시거잭에 연결을 합니다.
시동은 키지 않고 사용하면 차량 방전이 될수 있습니다.
4. 차량 타이어 적정 공기압 확인
운전석 문을 열고 오른쪽 차체에 붙은 스티커를 확인 하시면 내차종에 적정공기압을 체크 하실 수 있습니다.
단 겨울철에는 적정공기압보다 10% 정도 더 넣을것이 좋습니다. 제 차량인 경우 전륜 후륜 33psi 인걸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저는 34정도를 목표로 넣으려고 합니다. 꼭 차량 타이어 적정 공기압을 참고하여 넣어주세요
5. 타이어 마개 분리
주입할 타이어 마개를 돌려서 빼줍니다.
6. 타이어 공기압 주입구 연결
공기압 주입구 구멍에 맞게 돌려서 연결 합니다.
중간에 바람 빠지는 소리 나더라도 단단하게 연결 해줍니다.
7. 공기압 주입구 스위치 on
공기압 주입구에 스위치를 켜줍니다.
이제 요란한 소리가 나면서 공기압 충전이 되는것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8. 적정 공기압까지 주입
40~50사이 두번째 눈끔 정도를 채워줍니다.
그리고 완료 되었다면, 다른 타이어도 적정 공기압을 채우줍니다.
9. 공기압 확인 및 공기압 충전 완료
공기압을 다 넣었으면 차량에서 공기압을 측정 할수 있을정도로 동네 한바퀴를 운행 해봅니다.
34~35까지 공기압이 주입된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적정 공기압인것 같네요 이제 정리를 합니다.
자동차 관련 컨텐츠 확인하기
23년 자동차세 연납 하는 방법 후기 (모빌카드로 납부)
현대 순정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방법 ( 아반떼 AD )